[근로ㆍ노동] 해고사유의 판단기준
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는 부당해고라서 무효라고 하던데, '정당한 이유'의 판단기준은 무엇인가요?
====================
통상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판단기준은 해고사유가 사회통념상 근로계약을 계속시킬 수 없을 정도인가이며,
징계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판단기준은 단체협약, 취업규칙 등의 징계사유에 해당하고, 징계양정이 적정한가입니다.
☞ 통상해고의 경우라 하더라도 취업규칙상 해고사유로 정해져 있다는 사정만으로 해고가 당연히 정당하다고 할 수 없으며, 그 해고사유가 사회통념상 근로계약을 계속시킬 수 없을 정도로 근로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에 해당한다고 인정될 경우에만 그 해고가 정당합니다.
☞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어떤 사유가 있음을 들어 징계해고를 하고자 할 때에는 그 사유가 근로계약, 취업규칙, 단체협약 등에 정한 징계해고사유에 해당되어야 합니다.
☞ 해고사유가 근로계약, 취업규칙, 단체협약에 정한 징계해고사유에 해당하고 그 자체가 적법한 것이라고 하더라도, 전후 사정에 비추어 근로자에게 감봉, 견책 등 여러 징계처분 중에 가장 무거운 징계처분인 해고를 하는 것이 지나치다고 평가되지 않아야 합니다.
☞ 사용자가 정리해고의 요건을 갖추어 근로자를 해고한 경우에는 정당한 이유 있는 해고로 봅니다.
'생활법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금융ㆍ금전] 대부업자와 사채업자 (0) | 2015.05.14 |
---|---|
[금전거래] 불법추심행위 (0) | 2015.05.14 |
[국방ㆍ병역의무] 생계유지곤란자의 병역감면 (0) | 2015.05.13 |
[산재보험] 외국인 근로자의 산업재해보상보험 적용 (0) | 2015.05.13 |
[교통ㆍ운전] 음주운전 사고 (0) | 2015.05.11 |